연봉 실수령액 한눈에 확인하기, 세전과 세후 차이 비교

연봉을 협상하거나 재정 계획을 세울 때, 세전 연봉과 세후 실수령액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아래에서는 연봉에서 공제되는 항목과 그 계산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1. 세전 연봉과 세후 연봉의 차이

세전 연봉은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총 급여 금액으로, 세금과 4대 보험료 등이 공제되기 전의 금액을 의미합니다. 반면, 세후 연봉은 이러한 공제 항목들을 제외한 후 실제로 수령하는 금액입니다. 따라서 세전 연봉이 높더라도, 공제 항목에 따라 세후 연봉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 

주요 공제 항목:

  • 국민연금: 월 급여의 4.5%
  • 건강보험: 월 급여의 3.545%
  • 장기요양보험: 건강보험료의 12.95%
  • 고용보험: 월 급여의 0.9%
  • 소득세: 간이세액표에 따른 금액
  • 지방소득세: 소득세의 10%

 

 

2. 4대 보험료 공제

4대 보험료는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보험, 고용보험으로 구성되며, 근로자의 월 급여에서 일정 비율로 공제됩니다. 월급이 400만 원인 경우, 국민연금은 18만 원, 건강보험은 14만 1,800원, 장기요양보험은 1만 8,360원, 고용보험은 3만 6,000원이 공제됩니다.

 

4대 보험료 계산 예시:

  • 국민연금: 400만 원 × 4.5% = 18만 원
  • 건강보험: 400만 원 × 3.545% = 14만 1,800원
  • 장기요양보험: 14만 1,800원 × 12.95% = 1만 8,360원
  • 고용보험: 400만 원 × 0.9% = 3만 6,000원

 

 

연봉 실수령액 계산법, 세금 공제까지 상세 가이드
아래 버튼을 눌러보세요!

 

 

3. 소득세와 지방소득세 공제

소득세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결정되며, 이에 따라 지방소득세는 소득세의 10%가 추가로 공제됩니다. 소득세가 10만 원이라면 지방소득세는 1만 원이 됩니다.

 

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계산 예시:

  • 소득세: 간이세액표에 따른 금액 (예: 10만 원)
  • 지방소득세: 소득세 × 10% = 1만 원

 

 

4. 비과세 항목 고려

일부 수당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식대는 월 20만 원까지 비과세되며, 이러한 비과세 항목은 과세 대상 금액에서 제외되어 세후 실수령액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.

 

주요 비과세 항목:

  • 식대: 월 20만 원까지
  • 출산/보육수당
  • 실비변상적인 급여
  • 국외근로소득

 

 

5. 연봉별 세후 실수령액 예시

연봉에 따라 세후 실수령액은 달라집니다. 연봉이 5,000만 원인 경우, 월 세전 급여는 약 416만 6,000원이지만, 각종 공제를 제외하면 월 세후 실수령액은 약 355만 1,097원이 됩니다.

 

연봉 5,000만 원 기준 공제 내역:

  • 국민연금: 약 18만 7,500원
  • 건강보험: 약 14만 7,000원
  • 장기요양보험: 약 1만 9,000원
  • 고용보험: 약 3만 7,500원
  •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: 약 23만 4,000원

 

 

연봉 실수령액 계산법, 세금 공제까지 상세 가이드
아래 버튼을 눌러보세요!

 

 

결론

연봉 협상 시 세전 금액뿐만 아니라, 실제로 수령하게 될 세후 금액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를 통해 재정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며, 각종 공제 항목과 비과세 혜택을 고려하여 실수령액을 최대화할 수 있습니다.